본문 바로가기

study

[FCPP] 페이스북 블루프린트 자격인증 시험 - 02. 광고관리자와 게재 지면

페이스북 광고 시스템의 위계 구조에 대해서 알아본 지난 포스트에 이어, 오늘은 FCPP 시험 범위인 비즈니스 매니저와 광고 관리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 이 내용도 굉장히 기본적인거라 정리하면서도 내용을 정리하면서 쉬운 문제를 놓치지 않기 위한 요약정리 정도로 보면 될 것 같아요. 

 

추가적으로 페이스북 App Family를 하나하나 살펴보고 그 지면별 특징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합니다. 이 내용은 앞으로도 계속 반복되는만큼 이 시험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인듯 합니다. 계속 이런 간단한 내용들이면 좋겠네요! 😀

 


1. 광고 관리자 소개

   ▫︎ 비즈니스 관리자(Business Manager): 중요 데이터, 리소스, 시각 자료를 제공하는 셀프 서빙 플랫폼

   ▫︎ 캠페인 플래너(Campaign Planner): 도달 및 빈도 구매 옵션을 사용해 미디어 플랜의 초안 작성, 비교 공유, 구매 가능한 독립 실행형 도구

   ▫︎ 크리에이티브 허브(Creative Hub): 모의 광고 제작 및 레퍼런스 페이지, 광고 테스트 후 광고 관리자로 전송해 구매 및 게재 가능

 

 

2. 광고 관리자의 권한

권한은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한도에서 가장 낮은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 이 역할을 주기적으로 검토해서 업데이트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 

 

 관리자: Admin (광고 생성 및 결제, 권한 관리)

- 광고 확인, 광고 만들기, 결제 수단 수정, 페이지 역할 및 권한 관리, 보고서 엑세스

 

 광고주: 광고를 만들고 수정하는 역할 (광고 생성 및 수정)

- 광고 확인, 광고 만들기 및 수정, 보고서 엑세스

 분석자: 광고 성과를 측정하는 역할 (광고 확인, 생성 불가)

- 광고 확인, 보고서 엑세스 

 

 

3. 결제 수단 관리

계정의 지출 한도는 광고 계정 단계에서 설정, 계정 단위에서 광고에 지불할 최대 지불액

- 1시간에 10회까지만 변경 가능하며, 추가 변경 시 1시간 대기

- 캠페인 단계에서 지출 한도 설정 가능함

- 광고 세트 단계의 예산 = 특정 광고의 게재에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 금액

- 광고 지출 = 실제 지출 금액

- 대금 청구 기준액 지정 시, 특정 지출액에 도달할 때마다 자동으로 청구, 매달 말 미결제 금액에 대한 별도의 청구서 수급

 

 

4. 광고 검토

- 캠페인 > 광고세트 > 광고를 모두 셋팅하면 '검토 중'으로 노출되며 보통 24시간 내에 검토 완료

- 광고가 승인되지 않은 경우: 비승인 사유를 이메일로 전달, 광고 수정 후 다시 제출 가능하고 부당한 이유라고 판단되면 재고 요청 가능

- 광고가 비활성, 또는 게재되지 않음으로 표시: 광고 세트, 캠페인 설정 체크, 지출 한도와 캠페인 예산 체크 

 

 

5. 페이스북 앱 페밀리 게재 지면

・ 받은 메시지함과 Messenger: 받은 메시지함은 페이스북 앱 페밀리 전체의 커뮤니케이션을 한곳에서 관리하는 도구로 페이스북 및 인스타그램 댓글, 방문자 페이지 게시물 및 페이지 권장 사항 확인 가능

 

메신저 광고지면

   ▫︎ 메신저(Messenger): 자체 메시지 서비스

   ▫︎ 받은 메시지함: 대화와 함께 노출, 랜딩페이지로 자동 연결(웹, 앱 또는 메신저 대화) = 도달 범위 확대 목적에 적합

   ▫︎ 메신저 연결광고: 비즈니스와의 메신저 대화로 연결 = 메신저에서 대화 시작 광고 유형

   ▫︎ 홍보 메시지: 메신저에서 대화한 적 있는 고객에게 관련성 높은 프로모션 전달 = 리타겟팅 커뮤니케이션, 재참여에 적합

 

 

 페이스북(Facebook): 비즈니스로서 페이스북 운영 시 페이지 개설 필수(=페이지, 온라인에서 비즈니스를 나타내는 공간)

- 온라인에서 적절한 타겟과 연결 관계를 맺고 콘텐츠 공유

- 프로필은 개인, 페이지는 비즈니스

- 광고를 게재하면 더욱 광범위의 타겟에게 도달 가능

 

페이스북 광고지면

   ▫︎ 피드

   ▫︎ 오른쪽 칼럼

   ▫︎ 인스턴트아티클

   ▫︎ 동영상 피드

   ▫︎ 인스트림 동영상

   ▫︎ 스토리

   ▫︎ Marketplace

   ▫︎ 검색

 

 

 인스타그램(Instagram): 브랜드와 관련성이 높은 사진, 동영상 공유, 잠재고객을 효과적으로 팔로워로 전환

- 피드, 스토리, DM

 

 인스타그램 광고지면

   ▫︎ 피드

   ▫︎ 스토리

   ▫︎ 탐색

 

 

오디언스 네트워크(Audience Network): 페북, 인스타, 메신저를 포함하는 Facebook 앱 페밀리의 일부

- 페이스북 이외의 앱과 사이트에 광고 게재

- 광고를 게재할 앱, 웹에 자동으로 최적화

- 광고의 도달 범위 확대(페이스북이 아닌 다른 플랫폼으로 확장)

- 페이스북과 동일한 타겟팅, 경매, 게재 및 측정 시스템을 통해 노출됨

- 페이스북에 로그인한 사람만 광고를 볼 수 있음

- 특정 도메인과 앱을 차단하고 인벤토리 필터를 선택해 광고가 노출되는 위치 관리 가능

- 게재 보고서를 통해 게재 위치 확인 가능

 

 오디언스 네트워크 광고지면

   ▫︎ 배너광고: 화면 상단이나 하단에 노출되는 작은 크기의 광고

   ▫︎ 삽입광고: 게임에서 특정 레벨이나 행동 사이에 노출

   ▫︎ 네이티브 광고: 자연스럽게 올가닉 콘텐츠 사이에 노출

   ▫︎ 보상형 동영상: 광고를 시청하는 게이머에게 게임 내 보상 제공

   ▫︎ 인스트림 동영상: 모바일/데스크톱 기기를 통해 접속하는 서드 파티 앱과 사이트에서 프리롤 및 미드롤 노출 위치에 게재

 

 

6. 자동 노출 위치 vs 직접 선택한 노출 위치 + 자산맞춤화

 자동 노출 위치: 권장됨(모든 노출 위치에 걸쳐 광고를 게재, 효율성을 높임)

   = 더 높은 성과 달성, 시간 절약, 도달 확대

 노출 위치 수정: 노출되는 위치는 관리해 선택과 집중으로 비용 소진

 

자산맞춤화: 자동 노출 위치 및 노출 위치 수정 기능과 함께 사용 가능, 특정 노출 위치에 어떤 광고를 노출할지 지정해 원하는 방식으로 노출(일부 목표 및 형식, 노출 위치, 기타 옵션을 호환 불가)

 

 


다음 글에서는 광고 경매, 게재, 소재 및 랜딩 페이지 그리고 타겟팅을 공부합니다.

광고로서 활용가능한 소재에 대해서도 다룰 예정입니다! 같이 공부해요!